
이번에는 Route53에 대해 알아보겠다. Route53은 AWS에서 운영하는 DNS이다. (DNS : 도메인을 IP로 변환하여 어떤 서버에 접속할지 요청제어하는 것, 이 요청을 '쿼리'라고 한다.) 먼저 AWS에서 I AM으로 로그인을 하고 Route53을 검색한다. 그럼 아래와 같이 뜨는데 Route53 시작하기를 누른다. 그 후 호스팅 영역 생성을 선택 도메인 이름은 자신의 도메인에 뜰 이름을 설정하는 것이다. com의 앞부분은 자신이 원하는 이름을 넣자. 유형은 프라이빗 호스팅 영역으로 전에 만든 AWS vpc의 ID로 설정한다. 도메인을 생성해 줬다면 레코드도 생성해야 한다. 레코드 이름은 방금 만든 도메인 이름 앞에 붙여지는 이름이다. 레코드 유형은 Default으로 TTL은 300으로 라우팅..

지난시간에는 I AM 사용자를 만드는 과정까지 배워봤다. 오늘은 I AM 사용자로 로그인을 하여 S3를 사용하여 파일 업로드 하는 과정까지 배워보자. 우선 S3를 하기 전에 간단하게 AWS 용어를 알아보자. 첫 번째는 EC2이다.EC2는 '컴퓨터 용량을 클라우드를 통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생각하면 쉽다. 즉 하드웨어를 구매하지 않아도 자신의 컴퓨터 내에서 하드웨어적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말이다. 두 번째는 VPC이다. VPC는 EC2들끼리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자, 네트워크이다. 세 번째는 EBS이다. EBS는 데스크톱의 SSD(저장 공간)와 같은 서비스이다. 마지막 네 번째는 S3이다. S3 또한 EBS와 같은 저장을 해주는 서비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S3와 EBS에도 차이점은 ..

AWS란 Amazon에서 운영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여기서 클라우드란? 가상화된 서버와 서버 내 작동하는 프로그램과 DB를 제공하는 IT환경이다. 쉽게 말해 IT인프라라고 생각하면 된다. 먼저 AWS사이트에 들어 가 계정 생성을 해야 된다. 1. 계정 생성 창에 들어가고 설명에 따라 개인정보를 추가하면 된다. 2. 개인정보를 입력하다 보면 Root와 I am 계정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문구가 뜨는데 나중에 Root 계정으로 I am을 만들어야 하므로 Root 계정으로 가입을 해야 한다. 3. VISA신용카드(체크 가능)를 등록을 해야 하는데 멋모르고 달러 표시 되어있는 유료 창이 아닌 0달러(Free)라고 쓰여 있는 무료를 선택해야 한다. 4. Root 계정을 계설 했다면 로그인을 하고 오른..